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Script
- 토이프로젝트
- 현대자동차
- 티스토리챌린지
- 백준
- 딥러닝
- cs공부
- heapq
- re_lunchu
- softeer
- 소프티어
- 프로그래머스
- 힙큐
- Baekjoon
- 스마트팩토리
- 자바
- 오블완
- boj
- GAN
- 자바스크립트
- Java
- Algorithm
- 탐욕법
- cim
- 알고리즘
- 현대
- 파이썬
- Python
- programmers
- alogorithm
- Today
- Total
eaz_coding
[Softeer] GBC 본문
문제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GBC, Global Business Center)는 현대자동차그룹 통합 사옥이다.
지하 7층, 지상 105층, 높이 약 570m의 규모로 2026년 하반기에 완공을 목표로 현재 공사 중에 있다.
이러한 초고층 높이의 빌딩에는 초고층 승강기가 들어가야 한다. 엘리베이터 정비공인 광우는 0m 부터 100m까지 일정 구간들의 엘리베이터 속도를 검사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빌딩에서 운영되는 엘리베이터 구간은 N개의 구간으로 나뉘며 해당 구간의 제한 속도이 주어진다. 구간의 총 합은 100m 이며 각 구간별 구간의 길이와 제한 속도 모두 양의 정수로 주어진다.
예를 들어보자. 구간이 3이라고 할 때,
▶ 첫 번째 구간의 길이는 50m 이고 제한 속도는 50m/s
▶ 두 번째 구간의 길이는 40m 이고 제한 속도는 40m/s
▶ 세 번째 구간의 길이는 10m 이고 제한 속도는 30m/s
이 구간에서 제한 속도를 벗어나면(즉 제한속도를 초과하면) 서버에 초과한만큼의 속도가 로그에 남는다. 불행하게도 현재 서버의 상태가 off 상태임으로 광우는 서버의 데이터를 받아볼 수가 없다. 광우는 임의의 구간의 길이와 속도를 정하여 시범운행 할 때, 가장 제한 속도가 크게 벗어난 값을 스스로 구해야 한다.
M개의 구간을 검사한다고 할 때 예를 들면,
▶ 첫 번째 구간의 운행 길이는 60m 이고 속도는 76m/s
▶ 두 번째 구간의 운행 길이는 18m 이고 속도는 28m/s
▶ 세 번째 구간의 운행 길이는 22m 이고 속도는 50m/s이라고 했을 때, 제한 속도를 벗어나 가장 차이가 큰 속도를 구해 보자.
첫번째 구간 50m 까지에서 제한 속도와 실제 운행 속도를 비교했을 때, 제한 속도를 26m/s 초과했다. 이후 두번째 구간과 실 운행한 첫번째 구간이 10m 정도 겹치는데, 이때 제한 속도를 36m/s 초과하게 된다.
그 이후 구간들에서는 차이가 그보다 크지 않으므로 가장 큰 속도 차이는 36m/s임을 알 수 있다.
주어진 구간의 제한속도와 광우가 테스트한 구간의 속도를 기준으로 가장 크게 제한 속도를 넘어간 값이 얼마인지 구해보자.
1≤ N, M ≤100
첫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N개의 줄은 각 구간의 길이 및 해당 구간에서의 제한 속도가 주어지며, 다음 M개의 줄은 광우가 테스트하는 구간의 길이와 속도가 주어진다.
광우가 시범운행을 하는 동안 제한 속도를 가장 크게 벗어난 값을 출력 한다. 단 제한 속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는 0을 출력 한다.
3 3 50 50 40 40 10 30 60 76 18 28 22 50
36
3 3 50 90 10 90 40 50 50 40 10 100 40 40
10
풀이
풀이의 전반적인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총 길이는 어차피 100이 최대이기 때문에 101의 길이까지 각 구간마다 제한 속도를 lst에 저장해둔다.
구간 동안의 달리는 속도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제한 속도 구간 동안 바뀌는 구간만 비교하면 된다.
코드1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lst = [0]
speed = []
for i in range(n):
length, limit = map(int, input().split())
lst.extend([limit]*length)
for i in range(m):
l, s = map(int, input().split())
speed.append([l, s])
result = 0
prev = 0
for i in range(m):
temp = speed[i][1] - lst[prev+speed[i][0]]
prev += speed[i][0]
if temp > result:
result = temp
print(result)
아이디어는 잘 짜두고 입력되는 값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서 구간 설정을 안했다.
풀이2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lst = [0]
speed = []
for _ in range(n):
length, limit = map(int, input().split())
lst.extend([limit]*length)
for _ in range(m):
l, s = map(int, input().split())
speed.append([l, s])
result = 0
prev = 0
for i in range(m):
temp = speed[i][1] - min(lst[prev+1:prev+speed[i][0]+1])
prev += speed[i][0]
if temp > result:
result = temp
print(result)
구간 설정을 하고 보니
최대로 차이나는 지점을 찾으려면 구간 내에 제한 속도가 가장 작은 지점을 찾아서 빼면 간편하잖아!
풀다보니 알고리즘 푸는 사고가 좀더 나아지는 것 같다.
'eaz_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fteer] 바이러스 (0) | 2023.12.31 |
---|---|
[Softeer] 금고털이 (1) | 2023.12.31 |
[Softeer] 장애물 인식 프로그램 (1) | 2023.12.29 |
[Softeer] 8단 변속기 (1) | 2023.12.15 |
[Softeer] 비밀메뉴 (0)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