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heapq
- Python
- 파이썬
- alogorithm
- 소프티어
- cs공부
- JavaScript
- 백준
- 현대
- re_lunchu
- 자바
- 현대자동차
- boj
- GAN
- cim
- Java
- programmers
- Baekjoon
- 프로그래머스
- 티스토리챌린지
- 토이프로젝트
- softeer
- 힙큐
- 탐욕법
- 알고리즘
- 스마트팩토리
- 오블완
- 자바스크립트
- 딥러닝
- Algorithm
Archives
- Today
- Total
eaz_coding
[Baekjoon] 1167번 트리의 지름 본문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67
풀이
지난번에 풀었던 1967번 트리의 지름을 그대로 이용한 문제 풀이다.
트리의 지름은 하나의 공식처럼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1. 루트 노드에서 각 노드까지 최소 거리를 구한다.
2. 최소 거리가 가장 먼 노드에서 가장 먼 거리를 구한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v = int(input())
nodes = [[] for _ in range(v+1)]
for _ in range(v):
q = deque(list(map(int, input().split())))
x = q.popleft()
while q:
y = q.popleft()
if y == -1:
break
w = q.popleft()
nodes[x].append((y, w))
nodes[y].append((x, w))
def bfs(i):
visited = [-1] * (v+1)
visited[i] = 0
q = deque()
q.append(i)
while q:
cur = q.popleft()
for next, next_d in nodes[cur]:
if visited[next] == -1:
q.append(next)
visited[next] = visited[cur] + next_d
m = max(visited)
return [visited.index(m), m]
print(bfs(bfs(1)[0])[1])
'eaz_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9019번 DSLR (0) | 2024.11.20 |
---|---|
[Baekjoon] 14891 톱니바퀴 (0) | 2024.11.18 |
[Baekjoon] 1300 K번째 수 (0) | 2024.11.16 |
[Baekjoon] 1904번 01타일 (0) | 2024.11.15 |
[Baekjoon] 2805 나무 자르기 (1) | 2024.11.14 |